본문 바로가기

키워드 뉴스 정보

모바일 신분증 민간 앱에서 발급, 방법 및 사용처 안내

신분증하면 주민등록증과 운전면허증 그리고 여권 정도가 바로 머릿속에 떠오르시죠?

지갑속에 주민등록증 또는 운전면허증 둘 중 하나는 꼭 가지고 다니실 겁니다. 디지털 강국인 대한민국에서는 이미 모바일 신분증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도 아실테고 그리고 저도 이미 모바일 신분증을 가지고 있습니다. 모바일 신분증은 2021년 정부 앱에서 시작해 삼성월렛까지 확대됐고, 이제 민간 앱 개방을 통해 사용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2025년 7월 23일부터 KB스타뱅킹, 네이버, NH올원뱅크, 토스, 카카오뱅크 등 국민이 자주 쓰는 앱에서도 모바일 신분증 발급이 가능해졌습니다. 모바일 신분증의 정의부터 민간개방의 의미, 발급 절차, 보안성, 활용 분야, 그리고 기대 효과까지 상세하게 안내드립니다.

민간 앱에서 발급 가능한 모바일 신분증

목차

  1. 모바일 신분증이란?
  2. 민간개방의 의미와 변화
  3. 발급 가능한 기기
  4. 보안과 안전성
  5. 모바일 신분증 활용 분야
  6. 민간개방의 기대 효과

모바일 신분증이란?

모바일 신분증은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외국인등록증, 국가보훈등록증 등을 스마트폰에 안전하게 저장하여 실물 없이도 법적 신원 확인이 가능한 디지털 신분증입니다. 기존에는 정부 앱이나 삼성월렛에서만 발급이 가능했지만, 민간개방을 통해 국민의 접근성이 대폭 개선되었습니다.

모바일 신분증은 온라인 환경에서도 본인 여부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어 비대면 서비스에서 필수적인 신원 인증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민간개방의 의미와 변화

2025년 7월 23일부터 시행된 민간개방은 국민이 자주 이용하는 금융·포털 앱에서도 모바일 신분증 발급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디지털 신원 인증의 범위를 크게 확장했습니다.

구분 개방 전 개방 후
발급 가능 앱 대한민국 모바일 신분증 앱, 삼성월렛 KB스타뱅킹, 네이버, NH올원뱅크, 토스, 카카오뱅크
발급 가능 기기 삼성 스마트폰 중심 삼성 + 아이폰(일부 앱)
이용 편의성 제한적 일상에서 자주 쓰는 앱에서 즉시 발급 가능

발급 가능한 기기

  • 삼성 스마트폰 (One UI 6.1 이상) : 모든 개방 앱 사용 가능
  • 아이폰 : 토스, 카카오뱅크 우선 지원, 이후 KB·네이버·NH 앱 순차 지원 예정
  • 참여 기업: KB국민은행, 네이버, NH농협은행, 카카오뱅크, 토스(toss), 삼성월렛

모바일 신분증 이미지 - 행정안전부 제공

 

보안과 안전성

모바일 신분증은 단말기 보안 영역에 암호화 저장되어 중앙 서버에 보관되지 않으므로, 데이터센터 해킹 시에도 정보가 유출되지 않습니다.

  • 생체인증 필수 : 지문·안면인식·6자리 비밀번호
  • 분실 시 즉시 중단 가능 : 모바일 신분증 누리집, 콜센터(1688-0990), 통신사 신고
  • 하드웨어 보안 강화 : 삼성 기기 전용 보안 영역 활용

 

모바일 신분증 활용 분야

  • 관공서 및 상점 : 실물 신분증과 동일한 법적 효력, 
  • 온라인·비대면 서비스 : 안면인식 기반 본인 확인
  • 금융 거래 : 은행 계좌 개설, 대출, 금융사고 예방

 

민간개방의 기대 효과

  1. 접근성 향상 – 자주 쓰는 앱에서 즉시 발급 가능
  2. 보안 강화 – 하드웨어 보안, 생체인증, 즉시 중단 기능
  3. AI 시대 대비 – 신뢰성 있는 디지털 신원 인증 체계 구축
  4. 금융 혁신 – 비대면 금융 서비스 확대, 보이스피싱 예방

모바일 신분증 민간개방은 단순한 서비스 확장이 아닌, 디지털 신원 인증의 새로운 표준입니다.

이제 모바일 신분증으로 병원, 은행, 영화관....등 본인의 신분을 확인해야 하는 곳은 어디서나 사용이 가능해지고 있습니다.

스마트폰 속에 ‘안전한 나’를 담아 더 편리하고 안전한 생활을 경험해 보시기 바랍니다.